콘텐츠 목차
ㆍ접속통계의 전체 페이지 뷰, 전체 방문자 수, 순 방문자 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ㆍ접속통계 확인 시 북마크로 접속한 비율이 높은데 자세한 유입 경로를 알 수 있나요?
접속통계의 전체 페이지 뷰, 전체 방문자 수, 순 방문자 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전체 페이지뷰
페이지뷰(Page View)란 열람한 페이지 개수의 합을 의미해요.
따라서 전체 페이지 뷰는 웹사이트에 방문한 방문자가 열어본 페이지 수의 합을 말해요.
예시) 한 명의 방문객이 웹사이트에 들어와 '메인 페이지 > FAQ 페이지 > 회사 소개 페이지'를 보았다면 전체 페이지 뷰는 3이 되어요.
전체 방문자 수
전체 방문자 수는 재방문을 포함해 방문한 방문자의 총 수를 말해요.
재방문은 같은 날 브라우저 창을 닫는 것을 기준으로 여러 번 방문한 것을 말해요.
평균값은 원하는 기간(전날, 일주일, 1개월)을 선택해 해당 기간에 포함되는 전체 방문자 수의 평균을 계산해요.
순 방문자 수
전체 방문자 수 중 방문자의 IP를 분석해 순 방문자를 분석해요.
즉 IP가 중복되지 않도록 재방문자를 제외한 방문자 수를 말해요.
방문수 없이 페이지뷰만 카운트 되는 경우
해당 페이지에 접속한 방문자를 모두 카운트해서 제공하는 것은 아니에요.
"전체방문자" 기준으로 처음 접속페이지에 대해서 방문자 카운트된 값을 제공하고 있고 이후 이동되는 페이지에는 방문자가 집계되지 않아요.
예시) 쇼핑몰 메인 ->상품상세->주문서작성 과 같이 이동했다면 "메인" 에만 방문자 1 로 제공되고 있어요.
접속통계 확인 시 북마크로 접속한 비율이 높은데 자세한 유입 경로를 알 수 있나요?
Bookmark(북마크)는 기본적으로 직접 유입을 뜻하며, 유입 출처를 확인할 수 없는 방문 또한 Bookmark로 집계되기 때문에 정확한 유입경로 확인은 어려워요.
(카페24 접속통계에서 수집 가능한 URL일 경우 실제로 수집되는 경로에서 파라미터를 제외한 부분까지를 보여드리고 있어요.)
직접 유입의 대표적인 케이스
- 주소창에 직접 주소를 입력하여 방문
- 브라우저 즐겨찾기를 통한 방문
※ 접속 환경이 다양해지면서 이전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해요.
이 경우 또한 Bookmark로 집계해요. - 유입 출처가 남지 않는 형태의 배너광고를 통한 방문
- 앱을 거쳐서 방문한 경우
- SMS, QR 코드로 방문한 경우 등등
접속통계 상황별 방문 경로 조회 질문 리스트
구매전환율 방문경로별 확인 방법
접속통계 > 방문경로분석 > 방문도메인 (상세) 메뉴에서 구매율 항목을 통해 확인이 가능해요.
(해당 통계는 유료 서비스를 사용해야 이용이 가능해요)
신규 회원가입 시 방문경로 조회 방법
현재 접속통계에서 방문경로별로 회원가입에 대한 리포트는 제공되지 않고 있어요.
회원가입에 대한 방문경로는 집계가 현재 불가한점 양해 부탁드려요.
모바일 바로가기 아이콘 설치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 조회 방법
모바일 홈화면 바로가기의 경우 사용자의 디바이스 내 기능으로 추가되는 개념으로 데이터 확인이 어려워요.
접속통계에서도 이처럼 바탕화면 바로가기 아이콘 클릭하여 쇼핑몰 진입되는 경우 방문경로 정보가 남지 않기때문에 Bookmark 로만 집계되는 점 참고해주세요.
접속통계 > 페이지 분석 > 많이 찾는 페이지에서 상품분류 페이지 집계 기준을 알고 싶어요.
문의주신 상품분류 페이지 집계 기준은 product/list.html 가 포함된 URL 전체에요.
대분류 중분류 여부와 관계없이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다른 카테고리 아이디(cate_no)가 부여되므로
정확히 해당 카테고리 페이지에 대한 집계값이 노출되는 점 참고 부탁드려요.
접속통계에 네이버 파워링크는 어떻게 집계가 되나요?
네이버 파워링크는 방문도메인(상세) 분석에서는 네이버 클릭초이스의 일부분으로 "클릭초이스"로 합산되어 제공되고 있어요.
검색엔진 메뉴에서는 [네이버]에 포함되어 집계되는 점 참고해주세요.
(네이버의 경우 쇼핑, 쇼핑박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네이버] 로 집계되니 운영에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