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24 애널리틱스의 '유입 분석'은 고객이 어떤 검색 엔진, 검색어, 외부 사이트(도메인)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되는지 상세하게 분석하여, 마케팅 채널의 효율을 측정하고 최적화하는 데 필요한 핵심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각 유입 경로의 실제 매출 기여도까지 파악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보세요.
[유입 분석] 메뉴 구성
검색 유입 분석
검색 엔진 분석 : 일반, 상세, 순위(일반/상세) 검색어 분석 : 일반, 상세
유입 도메인 분석
유입 도메인 : 일반, 상세, 네이버페이 URL 분석, 상세 URL 검색 유입 분석 검색 엔진(일반) 어떤 검색 엔진을 통해 고객들이 쇼핑몰로 유입되었는지의 현황을 파악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지표 설명 검색 엔진 검색 엔진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주요 검색 엔진 10개를 분석합니다
: Bing, Daum, Naver, Google, Yahoo, Zum, Yandex, So, Sogou, Soso
유입 수 외부 검색 엔진을 통해 고객이 유입된 수를 의미합니다.
광고 매체사에서 제공하는 광고 키워드의 클릭 횟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광고 매체사와 수집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페이지 로딩 중에 고객이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는 등 이탈하는 경우에는 유입으로 집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비율 해당 검색 엔진의 유입 수가 전체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비율 = 해당 검색 엔진 유입 수 / 전체 검색 엔진 유입 수 합계 x 100 검색어 상세보기 해당 검색 엔진을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검색어 별 '유입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어가 없는 경우는 '검색어 없음'으로 표시됩니다.
검색 엔진(상세) 단순 유입량을 넘어, 각 검색 엔진을 통해 유입되어 실제 매출로 얼마나 잘 전환되는지 그 성과와 효율성을 상세히 분석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검색 엔진별로 발생한 유입 수와, 이에 따라 발생한 구매 건수 및 매출액을 보여줍니다.
또한 구매율, 유입당 매출, 구매당 매출 지표를 통해 각 검색 엔진 트래픽의 질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표 설명 검색 엔진 검색 엔진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주요 검색 엔진 10개를 분석합니다
: Bing, Daum, Naver, Google, Yahoo, Zum, Yandex, So, Sogou, Soso
유입 수 외부 검색 엔진을 통해 고객이 유입된 수를 의미합니다.
광고 매체사에서 제공하는 광고 키워드의 클릭 횟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광고 매체사와 수집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페이지 로딩 중에 고객이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는 등 이탈하는 경우에는 유입으로 집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구매 건수 검색 엔진을 통해 유입되어 결제된 주문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블로그, SNS 등의 쇼핑몰 링크, 즐겨찾기, 직접 주소 입력 후 결제한 경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1개의 주문에서 여러 상품을 결제한 경우, 구매 건수 1로 표시합니다. 결제가 완료된 주문만 포함합니다.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은 입금 완료일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환불·취소·교환된 주문도 결제 시점 기준으로 건수에 포함되기 때문에, 결제된 후에 환불, 취소, 교환되더라도 건수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구매율 검색 엔진을 통한 유입자 중 구매한 비율을 의미합니다.
구매율 = (구매 건수 / 유입 수) x 100 매출액 검색 엔진을 통해 유입되어 결제가 완료된 주문의 총 결제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 완료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매출액 포함: 실제 결제 금액(상품 금액 + 배송비 - 할인 금액) + 적립금 사용 금액 + 예치금 사용 금액 매출액 제외 : 환불, 교환, 취소(환불·취소·교환된 주문도 결제 시점 기준으로 매출에 포함되기 때문에, 결제된 후에 환불, 취소, 교환되더라도 매출액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유입당 매출 유입한 고객 1명당 평균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구매당 매출 구매한 고객 1명당 평균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구매당 매출 = 매출액 / 구매 건수
쇼핑몰 고객의 구매력을 나타냅니다. 회원인 경우, 2회 이상 구매 시 1명의 구매자로 간주합니다. 비회원인 경우, 각각의 구매 건수를 모두 다른 구매자로 간주합니다. 검색어 상세보기 해당 검색 엔진을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검색어 별 유입 수와 매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어가 없는 경우는 '검색어 없음'으로 표시됩니다.
검색 엔진 순위(일반) 어떤 검색 엔진이 쇼핑몰에 가장 많은 고객을 보내주는지 순위별로 파악하여, 주요 유입 채널을 확인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순위에 해당하는 검색 엔진이 어디이며, 해당 검색 엔진을 통한 총 유입 횟수(유입 수)와 전체 유입량 대비 비중(비율)이 얼마인지 보여줍니다.
지표 설명 순위 검색 엔진의 유입 수가 높은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검색 엔진 검색 엔진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주요 검색 엔진 10개를 분석합니다
: Bing, Daum, Naver, Google, Yahoo, Zum, Yandex, So, Sogou, Soso
유입 수 외부 검색 엔진을 통해 고객이 유입된 수를 의미합니다.
광고 매체사에서 제공하는 광고 키워드의 클릭 횟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광고 매체사와 수집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페이지 로딩 중에 고객이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는 등 이탈하는 경우에는 유입으로 집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비율 해당 검색 엔진의 유입 수가 전체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비율 = 해당 검색 엔진 유입 수 / 전체 검색 엔진 유입 수 합계 x 100
검색 엔진 순위(상세) 실제 매출액을 기준으로 어떤 검색 엔진이 가장 가치 있는 고객을 보내주는지 파악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순위의 검색 엔진별로 총 유입 횟수와, 이를 통해 발생한 총 매출액이 얼마인지 비교하여 보여줍니다.
지표 설명 순위 검색 엔진의 매출액이 높은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검색 엔진 검색 엔진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주요 검색 엔진 10개를 분석합니다
: Bing, Daum, Naver, Google, Yahoo, Zum, Yandex, So, Sogou, Soso
유입수 외부 검색 엔진을 통해 고객이 유입된 수를 의미합니다.
광고 매체사에서 제공하는 광고 키워드의 클릭 횟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광고 매체사와 수집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페이지 로딩 중에 고객이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는 등 이탈하는 경우에는 유입으로 집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매출액 검색 엔진을 통해 유입되어 결제가 완료된 주문의 총 결제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 완료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매출액 포함: 실제 결제 금액(상품 금액 + 배송비 - 할인 금액) + 적립금 사용 금액 + 예치금 사용 금액 매출액 제외 : 환불, 교환, 취소(환불·취소·교환된 주문도 결제 시점 기준으로 매출에 포함되기 때문에, 결제된 후에 환불, 취소, 교환되더라도 매출액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검색어(일반) 고객들이 어떤 검색어를 통해 쇼핑몰을 발견하고 들어오는지 파악하여, 고객의 관심사와 검색 트렌드를 분석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고객을 가장 많이 유입시킨 검색어가 무엇인지 순위별로 보여주고, 각 검색어를 통해 발생한 총 유입 횟수를 알려줍니다.
지표 설명 순위 검색어의 유입 수가 높은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검색어 검색 엔진을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검색어를 의미합니다. 유입 수 외부 검색 엔진에서 검색어를 통해 고객이 유입된 수를 의미합니다.
검색 엔진을 통한 유입 중 검색어가 있는 경우에만 포함합니다. 광고 매체사에서 제공하는 광고 키워드의 클릭 횟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광고 매체사와 수집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페이지 로딩 중에 고객이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는 등 이탈하는 경우에는 유입으로 집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검색어(상세) 어떤 검색어가 단순 유입을 넘어 실제 매출로 이어지는지, 그 성과와 효율성을 상세히 분석하여 SEO 및 키워드 광고 전략에 활용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순위의 검색어가 어떤 검색 엔진을 통해 유입되었는지 보여주고, 이를 통해 발생한 유입 수, 구매 건수, 매출액을 알려줍니다.
또한 구매율, 유입당 매출, 구매당 매출 지표를 통해 각 검색어의 실질적인 가치와 전환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표 설명 순위 검색어의 유입 수가 높은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검색어 검색 엔진을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검색어를 의미합니다. 유입 수 외부 검색 엔진에서 검색어를 통해 고객이 유입된 수를 의미합니다.
검색 엔진을 통한 유입 중 검색어가 있는 경우에만 포함합니다. 광고 매체사에서 제공하는 광고 키워드의 클릭 횟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광고 매체사와 수집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페이지 로딩 중에 고객이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는 등 이탈하는 경우에는 유입으로 집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구매 건수 검색어를 통해 유입되어 결제된 주문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블로그, SNS 등의 쇼핑몰 링크, 즐겨찾기, 직접 주소 입력 후 결제한 경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1개의 주문에서 여러 상품을 결제한 경우, 구매 건수 1로 표시합니다. 결제가 완료된 주문만 포함합니다.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은 입금 완료일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환불·취소·교환된 주문도 결제 시점 기준으로 건수에 포함되기 때문에, 결제된 후에 환불, 취소, 교환되더라도 건수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구매율 검색 엔진을 통한 유입자 중 구매한 비율을 의미합니다.
구매율 = (구매 건수 / 유입 수) x 100 매출액 검색어를 통해 유입되어 결제가 완료된 주문의 총 결제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 완료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매출액 포함: 실제 결제 금액(상품 금액 + 배송비 - 할인 금액) + 적립금 사용 금액 + 예치금 사용 금액 매출액 제외 : 환불, 교환, 취소(환불·취소·교환된 주문도 결제 시점 기준으로 매출에 포함되기 때문에, 결제된 후에 환불, 취소, 교환되더라도 매출액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유입당 매출 유입한 고객 1명당 평균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구매당 매출 구매한 고객 1명당 평균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구매당 매출 = 매출액 / 구매 건수
쇼핑몰 고객의 구매력을 나타냅니다. 회원인 경우, 2회 이상 구매 시 1명의 구매자로 간주합니다. 비회원인 경우, 각각의 구매 건수를 모두 다른 구매자로 간주합니다. 검색 엔진 상세보기 해당 검색어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검색 엔진 별 유입 수와 매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입 도메인 분석 유입 도메인(일반) 고객이 쇼핑몰에 접속하기 직전에 머물렀던 외부 웹사이트(도메인) 주소를 분석하여, 어떤 경로를 통해 고객이 유입되는지 파악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유입 도메인별로 발생한 유입 횟수와 전체 유입 대비 비중(유입 비율)을 보여줍니다.
지표 설명 유입 도메인 쇼핑몰을 어떤 도메인을 통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는 웹사이트 도메인 주소를 의미합니다.
[도메인 주소 예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들어온 경우, 유입 도메인은 'shopping.naver.com'으로 표시됩니다. 유입 도메인이 없거나, 확인되지 않는 형태의 유입은 Bookmark로 표시됩니다. 해당할 수 있는 케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주소창에 직접 URL을 입력하여 유입 브라우저 즐겨찾기를 통한 유입 SMS, QR코드 유입 앱을 거쳐서 유입 그 외 유입 도메인 정보가 남지 않는 형태의 광고를 통하여 유입된 경우 유입 수 쇼핑몰에 들어온 횟수를 의미하며, 검색 유입 및 광고 유입 등 모든 유입을 포함합니다.
[집계 예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경우, 유입 도메인을 'shopping.naver.com'으로 유입 수는 1로 집계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후 웹에서 2차례 새로고침을 한 경우, 유입 도메인을 'shopping.naver.com'으로 유입 수는 1로 집계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후 웹을 종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을 했다가 다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된 경우, 유입 수는 2로 집계 Bookmark(직접)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경우, 유입 도메인을 'Bookmark'로 유입 수는 1로 집계 유입 비율 유입 수를 유입 수의 합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유입 비율 = (유입 수 / 유입 수의 합) x 100
유입 도메인(상세) 각 도메인을 통해 유입되어 실제 매출로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어지는지 그 성과와 효율성을 상세히 분석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유입 도메인별로 발생한 유입 수와, 이로 인해 일어난 구매 건수 및 매출액을 보여줍니다.
또한 구매율, 유입당 매출, 구매당 매출 지표를 통해 각 추천 트래픽의 질적인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표 설명 유입 도메인 쇼핑몰을 어떤 도메인을 통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는 웹사이트 도메인 주소를 의미합니다.
[도메인 주소 예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경우, 유입 도메인은 'shopping.naver.com'으로 표시됩니다. 유입 도메인이 없거나, 확인되지 않는 형태의 유입은 Bookmark로 표시됩니다. 해당할 수 있는 케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주소창에 직접 URL을 입력하여 유입 브라우저 즐겨찾기를 통한 유입 SMS, QR코드 유입 앱을 거쳐서 유입 그 외 유입 도메인 정보가 남지 않는 형태의 광고를 통하여 유입된 경우 유입 수 쇼핑몰에 들어온 횟수를 의미하며, 검색 유입 및 광고 유입 등 모든 유입을 포함합니다.
[집계 예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한 경우, 유입 도메인을 'shopping.naver.com'으로 유입 수는 1로 집계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후 웹에서 2차례 새로고침을 한 경우, 유입 도메인을 'shopping.naver.com'으로 유입 수는 1로 집계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후 웹을 종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을 했다가 다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경우, 유입 수는 2로 집계 Bookmark(직접)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경우, 유입 도메인을 'Bookmark'로 유입 수는 1로 집계 유입 비율 유입 수를 유입 수의 합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유입 비율 = (유입 수 / 유입 수의 합) x 100 구매 건수 해당 도메인을 통해 유입되어 결제된 주문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블로그, SNS등의 쇼핑몰 링크, 즐겨찾기, 직접 주소 입력 후 결제한 경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1개의 주문에서 여러 상품을 결제한 경우, 구매 건수 1로 표시합니다. 결제가 완료된 주문만 포함합니다.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은 입금 완료일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환불·취소·교환된 주문도 결제 시점 기준으로 건수에 포함되기 때문에, 결제된 후에 환불, 취소, 교환되더라도 건수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구매율 해당 도메인을 통한 유입자 중 구매한 비율을 의미합니다.
구매율 = (구매 건수 / 유입 수) x 100 매출액 해당 도메인을 통해 유입되어 결제가 완료된 주문의 총 결제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 완료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매출액 포함: 실제 결제 금액(상품 금액 + 배송비 - 할인 금액) + 적립금 사용 금액 + 예치금 사용 금액 매출액 제외: 환불, 교환, 취소(환불·취소·교환된 주문도 결제 시점 기준으로 매출에 포함되기 때문에, 결제된 후에 환불, 취소, 교환되더라도 매출액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유입당 매출 유입한 고객 1명당 평균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구매당 매출 구매한 고객 1명당 평균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구매당 매출 = 매출액 / 구매 건수
쇼핑몰 고객의 구매력을 나타냅니다. 회원인 경우, 2회 이상 구매 시 1명의 구매자로 간주합니다. 비회원인 경우, 각각의 구매 건수를 모두 다른 구매자로 간주합니다.
유입 도메인(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를 통해 발생한 결제 성과를 유입 도메인별로 분석하여, 어떤 외부 사이트가 네이버페이 매출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지 파악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유입 도메인별로 발생한 네이버페이 구매 건수와 매출액, 그리고 구매 건당 평균 매출액(네이버페이 구매당 매출)을 통해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표 설명 유입 도메인 쇼핑몰을 어떤 도메인을 통해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는 웹사이트 도메인 주소를 의미합니다.
[도메인 주소 예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경우, 유입 도메인은 'shopping.naver.com'으로 표시됩니다. 유입 도메인이 없거나, 확인되지 않는 형태의 유입은 Bookmark로 표시됩니다. 해당할 수 있는 케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주소창에 직접 URL을 입력하여 유입 브라우저 즐겨찾기를 통한 유입 SMS, QR코드 유입 앱을 거쳐서 유입 그 외 유입 도메인 정보가 남지 않는 형태의 광고를 통하여 유입된 경우 네이버페이 매출액 네이버페이를 통해 발생한 결제가 완료된 총 결제 금액을 의미합니다.
예) 유입 도메인 google.com을 통해 유입된 사용자가 네이버페이를 통해 10,000원을 결제한 경우, google.com의 네이버페이 매출액은 10,000원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 완료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매출액 포함: 실제 결제 금액(상품 금액 + 배송비 - 할인 금액) + 적립금 사용 금액 + 예치금 사용 금액 매출액 제외 : 환불, 교환, 취소(환불·취소·교환된 주문도 결제 시점 기준으로 매출에 포함되기 때문에, 결제된 후에 환불, 취소, 교환되더라도 매출액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네이버페이 구매 건수 네이버페이를 통해 결제된 주문 건수를 의미합니다.
예) 유입 도메인 google.com을 통해 유입된 사용자가 네이버페이로 1건을 주문한 경우, google.com의 네이버페이 구매 건수는 1건
1개의 주문에서 2개 상품을 결제한 경우, 구매 건수 1로 표시합니다. 결제가 완료된 상품만 포함합니다.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은 입금 완료일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네이버페이 구매당 매출 네이버페이로 구매한 고객 1명당 평균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네이버페이 구매당 매출 = 네이버페이 매출액 / 네이버페이 구매 건수
쇼핑몰 고객의 구매력을 나타냅니다. 회원인 경우, 2회 이상 구매 시 1명의 구매자로 간주합니다. 비회원인 경우, 각각의 구매 건수를 모두 다른 구매자로 간주합니다. 전체 매출액 네이버페이 매출액을 포함한 쇼핑몰의 전체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결제가 완료된 주문의 총 결제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문일이 아닌 결제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계좌이체, 무통장입금의 경우 입금 완료일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매출액 포함: 실제 결제 금액(상품 금액 + 배송비 - 할인 금액) + 적립금 사용 금액 + 예치금 사용 금액 매출액 제외 : 환불, 교환, 취소(환불·취소·교환된 주문도 결제 시점 기준으로 매출에 포함되기 때문에, 결제된 후에 환불, 취소, 교환되더라도 매출액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네이버페이 매출액 비중 쇼핑몰의 전체 매출액 대비 네이버페이 매출액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네이버페이 매출액 비중 = (네이버페이 매출액 ÷ 전체 매출액) × 100
URL분석 고객을 쇼핑몰로 유입시킨 외부 웹페이지 주소와 검색어까지 조합하여, 가장 효과적인 유입 경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도메인, 페이지, 검색어 정보가 조합된 개별 URL 주소와, 해당 주소를 통해 발생한 유입 횟수 및 전체 유입 대비 비중(유입 비율)을 상세히 보여줍니다.
지표 설명 URL 쇼핑몰에 유입하기 직전의 웹사이트 URL을 의미합니다.
'도메인(.com, .net, co.kr 등) / 페이지(광고명):검색어' 형태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표시 예시]
search.daum.net/search:카프레힙색 search.yahoo.co.jp/search:폴라티 服 유입 수 쇼핑몰에 들어온 횟수를 의미하며, 검색 유입 및 광고 유입 등 모든 유입을 포함합니다.
[집계 예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경우, 유입 수는 1로 집계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후 웹에서 2차례 새로고침을 한 경우, 유입 수는 1로 집계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후 웹을 종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을 했다가 다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경우, 유입 수는 2로 집계 Bookmark(직접)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된 경우, 유입 도메인을 'Bookmark'로 유입 수는 1로 집계 유입 비율 해당 URL을 통한 유입이 전체 유입 중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의미합니다.
유입 비율 = (유입 수 / 유입 수의 합) * 100
상세 URL 고객이 쇼핑몰에 접속하기 직전에 머물렀던 웹사이트의 '전체 경로'를 분석하여, 더욱 세분화된 유입 경로의 성과를 추적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고객을 쇼핑몰로 유입시킨 개별 상세 URL 전체 주소와, 해당 경로를 통해 발생한 유입 횟수 및 전체 유입 대비 비중(유입 비율)을 보여줍니다.
지표 설명 상세 URL 쇼핑몰에 유입하기 직전의 웹사이트 전체 경로를 의미합니다.
'유입 경로 전체 / 광고명:검색어' 형태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표시 예시]
search.daum.net/search:카프레힙색 search.yahoo.co.jp/search:폴라티 服 유입 수 쇼핑몰에 들어온 횟수를 의미하며, 검색 유입 및 광고 유입 등 모든 유입을 포함합니다.
[집계 예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한 경우, 유입 수는 1로 집계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후 웹에서 2차례 새로고침을 한 경우, 유입 수는 1로 집계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후 웹을 종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을 했다가 다시 네이버 지식쇼핑(shopping.naver.com)의 링크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 한 경우, 유입 수는 2로 집계 Bookmark(직접)를 통해 쇼핑몰에 유입한 경우, 유입 도메인을 'Bookmark'로 유입 수는 1로 집계 유입비율 해당 URL을 통한 유입이 전체 유입 중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의미합니다.
유입 비율 = (유입 수 / 유입 수의 합) *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