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이동통신사별로 스팸 메시지 차단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 전송 결과는 '전송 성공'으로 확인되나 고객은 SMS가 차단되어 수신되지 않을 수 있어요.
자세히 알아보기
이동통신사의 스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안내
고객에게 SMS를 발송 후 쇼핑몰 관리자에서는 '발송 성공'으로 확인되지만 고객이 해당 SMS를 수신하지 못한 것은 각 통신사별 스팸 차단 서비스로 해당 SMS가 스팸 메시지로 자동 분류된 경우에요.
스팸 차단 서비스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스팸방지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광고성 스팸 문자를 자동으로 필터링해주는 무료 부가서비스이며, 2011년 11월부터 연령 제한 없이 전체 고객이 자동으로 가입돼요.
스팸 메시지 차단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을 경우, 각 이동통신사별 스팸으로 분류되는 기준에 따라 SMS가 '스팸 메시지'로 분류되어 수신이 차단될 수 있어요.
차단된 SMS는 이동통신사의 정책에 따라 '전송 성공'으로 업체에 통보되며 과금 처리돼요.
SMS 스팸 메시지 분류 방지 안내
1. 동일한 메시지가 동일 시간에 발송되는 경우, 스팸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회원이름 [NAME], 회원 아이디 [USERID]와 같은 변수명을 사용하여 메시지 내용을 다르게 발송하는 것을 권장해요.
2. 대화체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 좋으며, 아래 예시 단어와 같이 광고성 정보가 많이 담긴 메시지일 경우, 스팸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지양해 주세요.
스팸 메시지로 분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제 SMS 발송 전 꼭 테스트 발송을 진행해 주세요.
※ 예시) 이벤트, 고객님, 무료, 상담, 할인, 최대, 최저, 적립, 당일, SALE(세일) 등
3. 메시지 내용에 URL이 있을 경우 이동통신사의 스팸 필터링을 거치며 스팸 관련 링크 및 파일이 발견될 경우 스팸 메시지로 분류되어 수신이 차단될 수 있어요.
4. SMS 수신 번호와 발신 번호가 동일한 경우 수신이 차단될 수 있어요.
※ 050, 070 번호로 발송은 가능하지만 수신자 설정과 이동통신사에 의해 차단된 SMS에 대해서는 최종 수신 여부와 관계없이 과금 처리돼요.
5. 각 이동통신사의 서비스인 '스팸 메시지 차단 서비스'를 고객이 가입한 상태에서 차단 문구 및 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발송할 경우, 고객은 '스팸 메시지함'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이 직접 문구 및 번호 차단 해제 진행해야 SMS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어요.
Info
- 로 이동 후 '보내기' 버튼 옆 도움말 아이콘을 클릭하여 '불법 스팸 방지'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 LG U+의 경우 특수문자가 많이 삽입되면 스팸 메시지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아요.
- 스팸 문구는 주기적으로 이동통신사에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실제 SMS 발송 전 테스트 발송을 진행해 주세요.
- 각 이동통신사별로 스팸으로 구분되는 세부 기준은 다르며, 자세한 기준은 아래에서 확인 가능해요.
각 이동통신사별 스팸 차단 메시지 확인 방법
고객이 직접 스팸 차단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드리며 쇼핑몰 운영 시 참고해 주세요.
1. SKT
T world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스팸필터링'을 검색합니다. 검색 후 '부가서비스/할인프로그램 > 스팸필터링'의 '스팸내역 조회'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2. KT
olleh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스팸차단서비스'를 검색합니다. 검색 후 '스팸차단서비스' 메뉴의 '스팸메시지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LG U+
LG U+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스팸차단'을 검색합니다. 검색 후 '부가서비스 > 스팸차단 > 스팸내역조회'의 '스팸 차단 메시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